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연료전지 기술동향 분석 및 Capacity 연료전지 개요 및 발전용 연료전지 기술 동향 분석 연료전지는 수소와 산소로부터 전기화학반응을 통해 직접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장치이다. 연료전지 스택, 연료변환장치, 주변기기 (BOP : Balance of plant) 및 제어 기술을 포함하는 통합기술이다. 연료전지를 통해 발전하면 기존 화력발전 대비 온실가스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을 약 40% 감소시키고 에너지 사용량은 약 26% 절감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부생 물로 물과 열이 발생될 수도 있다. 연료전지는 핵심 원료인 수소의 생산 기술은 크게 1) 수전해 기술 2) 탄화수소 개질 3) 원자력 수소 제조 3가지로 나누어진다. 한국에서는 주로 LNG를 연료로 사용하는 탄화수소 개질 방법으로 수소를 공급한다. 개질 된 수소가스가 연료극 쪽으로 공급되.. 더보기 재생에너지 기술의 성장과 연료전지 기술 현재 기술이 많이 발달한 가스터빈을 활용한 복합화력 발전도 있지만, 굳이 수소 연료전지를 활용하는 이유는 여기서 찾을 수 있다. 전 세계는 재생에너지 인프라가 지속적으로 확충될 수 밖에 없는 환경에 처해 있다. 이과 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간헐성 및 제품 불안정성을 해소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며, 에너지 저장 기술이 가장 중요한 솔류션이 된다. 수소와 연료전지를 활용한 에너지 저장과 활용을 통해 이러한 문제는 해결할 수 있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하여 저장된 전력을 전력, 열 등 다양한 에너지로 사용할 수 있는 사회에서는 CO2를 확기적으로 줄이면서도 전체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비용은 낮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가스발전으로는 절대 도달하지 못하는 미래이다. 재생에너지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IEA에 .. 더보기 재생에너지와 수소 일본, 호주로부터 수소의 액상(암모니아) 방식 운송 프로젝트 진행 호주는 태양광 발전의 전력을 활용하여 수전해 방식으로 수소를 생산함과 동시에 공기로부터 질소를 분리하여, 수소와 질소를 결합, Haber-Bosch 공정을 통해 암모니아를 합성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호주의 암모니아 제조사 Yara가 태양광 발전 연계 암모니아 파일럿 플렌트를 2019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일본은 호주가 생산한 대규모 액상 암모니아를 LPG 선박을 활용하여 저장 후 일본으로 운송하는 프로젝트를 함께 추진 중이다. P2G를 넘어 P2X로 활용되는 수소 유럽은 신재생에너지로 에너지시스템을 전환하면서 섹터 커플링(Sector Coupling)의 일환으로 수소를 활용하고 있다. 섹터 커플링은 인프라와 저장 가능한 에너지(전력.. 더보기 수소저장과 프로젝트들 우리나라는 2030년 해외 생산 수소를 액화 또한 액상 형태로 수입하기 위한 계획이다. 이에 맞춰 조선업체 및 한국가스공사 등과 연구 및 기자재 국산화를 진행 중이며, LNG 인수기지 건설 기술 및 경험을 바탕으로 액화수소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며, 2050년 실증 선박 건조, 2030년 시험운항 및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액화수소의 경우 극저온(-253℃) 저장을 위한 단열기술이 핵심이다. 암모니아 등 액상은 현재 기존 선박으로도 가능하다. 일본은 이미 호주로부터 액상 수소를 도입하기 위한 첫 번째 선박이 올해 중 출항할 예정이다. 중장기 수소 저장에 있어 액체 수소 중요성 높아질 것 수소 저장은 고체, 기체 및 액체 저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운송 방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기체 저.. 더보기 수소생산과 수소운송 시스템 다만, 우리는 풍력발전 비용을 과연 수소생산 비용에 포함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풍력발전으로 수소를 만들기 위한 목적 설비라기 보다는 잉여 전력을 활용한다고 할 경우 풍력발전 비용이 수소 생산비용으로 포함될 필요는 없다. 태양광 역시 마찬가지이다. Mackenzie의 전망은 풍력 설비가 수소생산을 위한 목적 설비로 활용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잉여전력으로 열까지 생산한다면 통합적인 에너지 원가는 더욱 크게 하락한다고 볼 수 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한 미드스트림 분야 수소 생산도 중요하지만, 향후 가장 중요한 Bottleneck은 수송/저장 부분이 될 전망이다. 시간과 규모의 경제 확보가 필요한 인프라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재생에너..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