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액체수소

수소저장과 프로젝트들 우리나라는 2030년 해외 생산 수소를 액화 또한 액상 형태로 수입하기 위한 계획이다. 이에 맞춰 조선업체 및 한국가스공사 등과 연구 및 기자재 국산화를 진행 중이며, LNG 인수기지 건설 기술 및 경험을 바탕으로 액화수소를 우선 추진할 계획이며, 2050년 실증 선박 건조, 2030년 시험운항 및 상용화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 중이다. 액화수소의 경우 극저온(-253℃) 저장을 위한 단열기술이 핵심이다. 암모니아 등 액상은 현재 기존 선박으로도 가능하다. 일본은 이미 호주로부터 액상 수소를 도입하기 위한 첫 번째 선박이 올해 중 출항할 예정이다. 중장기 수소 저장에 있어 액체 수소 중요성 높아질 것 수소 저장은 고체, 기체 및 액체 저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운송 방법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다. 기체 저.. 더보기
수소생산과 수소운송 시스템 다만, 우리는 풍력발전 비용을 과연 수소생산 비용에 포함시켜야 할 것인가에 대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풍력발전으로 수소를 만들기 위한 목적 설비라기 보다는 잉여 전력을 활용한다고 할 경우 풍력발전 비용이 수소 생산비용으로 포함될 필요는 없다. 태양광 역시 마찬가지이다. Mackenzie의 전망은 풍력 설비가 수소생산을 위한 목적 설비로 활용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하였다. 또한, 잉여전력으로 열까지 생산한다면 통합적인 에너지 원가는 더욱 크게 하락한다고 볼 수 있다. 대규모 인프라 투자가 필요한 미드스트림 분야 수소 생산도 중요하지만, 향후 가장 중요한 Bottleneck은 수송/저장 부분이 될 전망이다. 시간과 규모의 경제 확보가 필요한 인프라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이 재생에너.. 더보기

반응형